투싼하이브리드 고질병 (외관 점검, 원격 시동, 공조기, 시트 주름, 전방충돌센서)
오늘은 투싼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주요 문제점들을 점검해보고, 관련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신차를 구매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미리 확인하고 대처한다면, 차량을 더 오래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투산하이브리드 고질병인 외관 점검, 원격 시동 공조기 문제, 시트 주름 및 손상 논란, 그리고 전방충돌센서 오류를 중심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.
본문 바로가기를 통해 투싼하이브리드를 시승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니, 신차나 중고차 구매를 원하신다면 실물을 꼭 한번 보시고 구매하시길 바랍니다.
외관 점검: 단차 및 도장 상태 확인
신차 구매 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하는 부분은 차량의 외관 상태입니다.
- 단차: 차체와 도어, 트렁크, 보닛 등의 경계 부분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니 눈으로 확인 후 필요 시 조치를 받으세요.
- 도장 상태: 색상이 고르지 않거나 스크래치가 있다면 신차 인수 전에 반드시 문제를 제기해야 합니다.
참고: 외관 점검 요령은 신차 검수 관련 영상 또는 가이드를 참고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.
원격 시동 시 공조기 작동 여부
원격 시동 후 공조기 작동이 불량하다는 사례가 많습니다. 아래는 확인 방법과 원인 분석입니다.
확인 방법
- 원격 시동 방법
- 스마트키의 잠금 버튼을 한 번 누르고, 콜드 버튼을 길게 눌러 시동을 겁니다.
- 작동 여부 점검
- 시동 후 공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.
- 디스플레이 화면은 문을 열거나 브레이크를 밟아야 활성화됩니다.
- 공조기 터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,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세요.
문제 발생 시 증상
- 공조기 터치 불능.
- 히터가 최대 출력 상태로 유지되어 창문을 열고 주행해야 하는 상황 발생.
원인 및 대처법
원인 | 설명 | 대처법 |
---|---|---|
전기장치 간의 신호 전달 문제 | 원격 시동 상태에서 차량이 키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음. | 브레이크를 밟아 정상 상태로 전환. |
디스플레이 비활성화 | 문 닫힘 상태에서 활성화 필요. | 출발 전 디스플레이 상태를 반드시 확인. |
시트 주름 및 손상 논란
투싼 NX4 시트에서 발생하는 주름과 홈에 대한 논란도 많습니다.
문제 상황
- 시트의 일부 크롬 장식 부위에 V자형 홈이 파여 있어 손상으로 오해받음.
- 시트를 눌렀을 때 주름이 생기거나 접힘 현상이 발생.
확인 포인트
구분 | 설명 | 대처법 |
---|---|---|
V자형 홈 | 디자인을 위해 고의적으로 제작된 구조. | 불량 아님. |
주름 발생 | 홈이 잘못 파여 주름이 심해질 경우. | 서비스센터에서 조치 필요. |
손상으로 의심되는 부분 | 실제 찢어진 것인지 홈으로 인한 주름인지 구분 필요. | 육안으로 확인 후 전문가의 진단 필요. |
참고
- 시트 교체 비용이 매우 비싸므로 사전에 철저히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전방충돌 센서 오류
전방 충돌 경고등이 계속 뜨는 문제는 번호판 가드와 관련이 있다는 사례가 많습니다.
문제 원인
- 신형 번호판 가드의 크기가 구형보다 크며, 센서를 가려 오작동 발생.
- 운행 중 크루즈 컨트롤 사용 시 더욱 두드러질 수 있음.
확인 및 해결 방법
구분 | 설명 | 대처법 |
---|---|---|
구형 번호판 가드 | 센서를 가리지 않아 문제 없음. | 별도 조치 불필요. |
신형 번호판 가드 | 센서를 가릴 가능성 높음. | 번호판 가드 교체 후 테스트 필요. |
테스트 방법
- 신형 번호판 가드를 장착 후 센서 오류 발생 여부 확인.
- 크루즈 컨트롤 사용 중에도 문제가 재현되는지 점검.
- 오류 발생 시 서비스센터 방문.
투싼 NX4 하이브리드는 다양한 최신 기술이 적용된 차량인 만큼, 초기 생산분에서 일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아래는 주요 점검 리스트입니다.
투싼 하이브리드 고질병 리스트 (NX4)
- 외관 단차 및 도장 상태.
- 원격 시동 후 공조기 정상 작동 여부.
- 시트 주름 및 손상 여부.
- 전방 충돌 센서 및 번호판 가드 관련 오류.
신차 구매 후 6개월은 흔히 “베타테스트 기간”이라고 불립니다. 이 기간 동안 문제를 철저히 점검하고,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